top of page

10월 5일 (주일) 설교 요약

성찬의 의의

10월 5일 (주일) 설교 요약

2025.10.05. (세계 성찬 주일)

제목: 성찬의 의의
聖餐の意義
Significance of the Holy Communion
본문: 고린도전서 11:23-36

23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24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25식후에 또한 이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26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

서론
성찬의 의의에 대하여 상고해 보기를 원합니다. 구약시대에는 성찬식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예표가 될 만한 일은 있었습니다. 그것은 아브라함에게 나타난 신비한 인물 멜기세덱에게서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성찬식은 예수께서 제정하셨습니다. 성찬의 빵은 예수 그리스도의 육체를 상징하고 포도주는 그의 피를 상징합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편지할 때 귀신의 잔과 성찬을 대조하면서 성찬의 의의를 잘 해석해 주었습니다.
오늘은 세계성찬주일을 맞이하여 성찬의 의의를 되새겨 보면서 하나님의 은혜를 받기 원합니다.

1. 성찬의 모형 (창 14: 18-20)
“18살렘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 19그가 아브람에게 축복하여 가로되 천지의 주재시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이여 아브람에게 복을 주옵소서 20너희 대적을 네 손에 붙이신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을 찬송할찌로다 하매 아브람이 그 얻은 것에서 십분 일을 멜기세덱에게 주었더라”

• 전쟁 후에
그돌라오멜 왕을 중심으로 한 4나라 왕들이 연합군을 형성하여 소돔과 고모라 왕을 중심으로 한 5나라를 쳐들어와 정복하고 소돔에 살던 아브라함의 조카 롯이 사로잡혀 갔습니다.
아브라함은 사병 318명을 이끌고 야간 공격을 하여 롯을 찾아왔습니다.

• 멜기세덱의 현현
그때 소돔왕도 영접나왔고 살렘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와 먹게 하고 지극히 높은 제사장으로서 하나님의 축복을 하였습니다. 우리가 승리하고 나면 세상의 축복을 가지고 오는 왕과 하늘의 축복을 가지고 오는 왕이 옵니다. 멜기세덱은 흐늘의 영원한 복을 가지고 오실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입니다.

• 십분 일
아브라함은 얻은 것 가운데 십분의 일을 멜기세덱에게 드렸습니다. 이것은 율법이 명하기 전에 자발적으로 드린 십분의 일의 시작입니다. 율법의 십일조는 사라졌으나 찬양과 감사와 함께 드리는 십일조는 영원한 것입니다.

2. 예수님의 피와 새 언약 (요 13:14-15)
예수께서 최후의 만찬석상에서 잔을 드시고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라고 말씀하셨습니다(마 26:17-22, 막 14:12-26, 눅 22:3-6, 요 13:21-30).

• 성찬과 새 언약
사회에서도 서약이 많이 있습니다. 입학서약, 입사서약, 결혼서약 등 많은 서약들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서약은 내가 자격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지금은 부족하지만 이제부터 충성을 다 하겠다는 약속을 의미합니다. 성찬은 예수께서 세우신 새 언약입니다.

• 성찬과 예수 그리스도의 피
예수께서 잔을 드시고 말씀하신 내용은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자격이 없으나 예수의 피로 혈맹을 맺으면, 과거의 모든 죄가 사하여지며 새 사람을 입어 하나님의 자녀다운 자녀가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수님의 피는 새 언약의 표시가 되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피는 예수님의 생명을 의미합니다. 예수님의 피를 받은 사람만이 예수님의 생명을 받습니다. 그러므로 예수께서 내 죄를 대신 짊어지셨다는 사실은 엄청난 그의 사랑을 나타내는 증거입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의 피를 통하여 나와 혈맹을 맺으신 것입니다. 이 사실을 계속 기념하는 의식이 성찬식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께서 이 세상에 다시 오실 때까지 이 의식을 계속해야 하는 것입니다.
성찬은 볼 수 있는 말씀이니, 말씀을 종이 위에 쓸 수 있듯이 잔과 떡으로 눈 앞에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찬은 예수께서 우리의 죄를 대속하시기 위하여 죽으신 사실을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입으로 말하고, 몸으로 행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성찬을 통하여 우리를 대속하신 예수님의 죽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십자가에 못박히신 예수 그리스도에 참여함을 의미합니다.

• 성찬과 신인 합일
이 성찬을 통하여 우리는 예수님과 하나되어 하나님의 의를 얻으며, 신령한 음식을 통하여 영적 능력과 기쁨을 공급하는 역사가 일어납니다. 그리스도와 신비적인 연합을 통하여 우리는 그리스도와 같이 살 것을 굳게 맹세하고 거룩한 헌신을 맹세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성찬을 통하여 한 떡에 참여하는 자가 되었다는 사실은, 예수께서 우리를 위하여 대신 죽어주셨다는 대속의 증거가 됩니다. 성경에 대속 혹은 속량과 관계된 말씀이 약 1300 회로써 다른 어떤 주제보다도 많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얼마나 중요한 주제였으면 성경에서 그렇게 많이 다루었겠습니까?
인간은 타락으로 말미암아 날 때부터 타락한 피를 가지고 이 세상에 나옵니다. 이 피는 죄가 없는 피로 대속하는 길밖에 다른 길은 없습니다. 구약시대에는 인간의 죄를 대속하기 위하여 짐승의 피를 흘려 제사를 드려야 했습니다. 짐승의 피는 한 번 흘릴 때 한 번의 효과밖에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구약시대에는 대속이 필요할 때마다 짐승이 죽어야 했습니다.
짐승의 생명인 피가 인간을 영원히 대속할 수는 없습니다. 짐승의 피는 일시적으로 인간의 죄를 대속하는 싸인 곧 증거였습니다. 하나님께 드려진 짐승의 피는 완전한 대속의 제사를 드리실 예수님의 피의 모형이요 상징이었습니다.

3. 바울의 해석 (11:26-29)
“26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


• 성찬식의 기간(11:26)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고 하였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그의 사역, 죽으심, 부활, 승천 그리고 재림하실 때까지 그의 죽으심과 연결되어 있는 성찬식을 거행하라고 하였습니다.
승천하신 예수 그리스도는 반드시 공중으로 다시 오실 것입니다. 예수님은 신부 곧 교회를 데리러 다시 오실 것입니다.

• 합당치 않은 성찬(11:27-28)
“27그러므로 누구든지 주의 떡이나 잔을 합당치 않게 먹고 마시는 자는 주의 몸과 피를 범하는 죄가 있느니라”
합당치 않게 먹고 마시는 성찬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예수 그리스도를 개인의 구주로 영접하지 않은 상태로 성찬에 임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 죄를 회개하지 않은 상태로 성찬에 임하는 것입니다. 성찬의 의미를 전혀 모르고 성찬에 임하는 것입니다. 성찬을 일반적인 식사로 착각하는 것입니다. 귀신의 잔과 겸하여 성찬에 임하는 것입니다.

• 성찬에 임하는 태도(11:28-29)
“28사람이 자기를 살피고 그 후에야 이 떡을 먹고 이 잔을 마실찌니 29주의 몸을 분변치 못하고 먹고 마시는 자는 자기의 죄를 먹고 마시는 것이니라”
위에서 열거한 성찬에 합당하지 않게 먹고 마시는 것을 제거하고 성찬에 임해야 합니다. 주의 몸을 분변치 못하고 먹고 마시는 성찬은 성찬이 아니라 자기의 죄를 먹고 마시는 것입니다.
성찬이란 그리스도와 하나되어 하나님의 가족으로서 함께 식사를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가족이란 피로 형성된 사람들의 모임을 말합니다. 개의 세계에 고양이가 피를 나누며 낄 수는 없습니다. 동물의 세계에 사람이 끼어 동물의 가족이 될수는 없습니다. 또한 인간의 가족 속에 동물이 끼어 한 가족이 될 수는 없습니다. 만일 의심이 되시거나 이해가 되지 않거들랑 자기가 가장 사랑하는 동물 하나를 데리고 동사무소로 데리고 가서 주민등록증이나 호적등본에 올리려고 해 보시기 바랍니다. 마찬가지로 우리 집에는 나를 보호하는 천사가 5명이 있는데 호적에 올려달라고 해 보시기 바랍니다. 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가족은 예수님의 피로 혈맹을 이룬 사람들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영원한 불못 지옥에 갈 사람들은 하나님의 생명책에 기록되지 않습니다. 오직 예수님의 피로 혈맹을 맺은 사람만이 하나님의 생명책에 기록되는 것입니다.

결론
예수님의 피로써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용서와 화해가 이루어졌습니다. 죄로 물든 우리의 과거의 피가 아니라 예수님의 피를 수혈하여 새로운 사람이 된 우리는 명실공히 하나님의 자녀가 된 것입니다.
하와이의 몰록카이 섬에 가서 문둥이들과 함께 살면서 전도한 성자 다미안은 자기의 좋은 출신과 문벌과 부귀와 공명을 다 버리고 그곳에 가서 전도하려 했으나 그들은 들으려 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하나님께 문둥이가 되게 해달라고 기도하여 문둥이가 되었을 때 그들이 비로소 이해하고 받아들여 섬전체가 복음화되었다는 감동적인 실화가 있습니다.
아브라함의 성찬의 모형. 예수께서 제정하신 성찬, 바울의 성찬에 대한 해석을 깊이 상고하고 우리의 성찬식에 적용해야 하겠습니다.

bottom of page